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흥미있는이야기

[조선시대 흐름 총정리] 1392년부터 1910년까지, 왕조의 시작과 끝

by samdoonpapa 2025. 5. 1.


서론: 조선, 500년 왕조의 시작

1392년,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왕조가 들어섭니다. 그 이름은 바로 "조선".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조선을 세우면서 한국은 또 한 번의 거대한 역사적 변곡점을 맞이합니다.


이후 조선은 약 500년 동안 유교를 중심으로 한 문치주의 사회를 이끌며, 정치·문화·과학·예술 등 다방면에서 찬란한 발전과 함께 수많은 외세와 내적 위기를 극복해 나갑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의 건국부터 멸망까지, 주요 사건을 시대별 흐름에 따라 스토리 형식으로 정리해 봅니다.


조선시대 흐름 총정리 (1392년 ~1910년) 조선 건국에서 경술국치까지



본론: 1392년부터 1910년까지, 조선의 격동 500년


1. 조선의 건국과 제도 정비 (1392~1450)

1392년, 이성계는 조선을 세우고 국호를 "조선"이라 정합니다. 태조 이성계는 신하 중심의 정치체제를 도입하고, 정도전과 함께 유교 국가의 기틀을 다집니다.

태조이성계와 정도전



조선 초기에는 경국대전 편찬, 과거제 강화, 유교적 윤리 강조 등을 통해 중앙집권 체제가 뿌리를 내립니다.

1394년: 한양 천도

1418년: 세종 즉위 → 훈민정음 창제, 과학기술·문화 전성기

세종 즉위 → 훈민정음 창제



2. 사화와 붕당의 시대 (1450~1600)

세조가 왕권 강화를 위해 단종을 폐위하고, 이후 조선은 사림파와 훈구파 간의 정치 갈등에 휘말립니다.

4대 사화: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붕당정치 시작: 동인과 서인 → 남인, 북인으로 분화


이 시기 내적 갈등이 깊어지며 민생이 불안해지고, 조선은 점차 불안정한 사회로 접어듭니다.

3.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1592~1636)

1592년: 임진왜란 발발 (도요토미 히데요시 침략)

1598년: 정유재란 종결

이순신 장군의 활약과 거북선, 의병들의 봉기

이순신 장군의 활약과 거북선


1636년: 병자호란 → 청나라에 굴욕적 삼전도의 항복


조선은 외침 속에서도 백성들의 단결력, 자주 의식, 실학의 발아 등으로 다시 회복을 모색합니다.

4. 안정과 문화의 황금기 (17세기~18세기)

숙종정조 시기에는 정국이 안정되고 문화와 학문이 융성합니다.

탕평책 실시 (붕당 완화)

실학자 등장 (정약용, 박제가 등)

규장각 설치, 수원 화성 건설


정조는 개혁 군주로서 새로운 조선을 꿈꾸며 국가 제도를 정비하고 학문을 진흥시킵니다.

5. 세도정치와 개화의 충돌 (19세기 초반)

1800년대: 세도 정치 시작 (안동 김 씨 등)

왕권은 약화되고 부정부패 심화

민란과 농민 항쟁 증가 (홍경래의 난, 임술농민봉기)

홍경래의 난 임술농민봉기




이 시기 서양과의 접촉이 늘어나고, 개항 요구가 거세지며 사회 변화의 필요성이 대두됩니다.

6. 조선 말기, 개혁과 제국의 꿈 (1876~1907)

1876년: 강화도 조약 (일본과 최초 근대적 불평등 조약)

1894년: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실시

1897년: 대한제국 선포 (고종 황제 즉위)

1905년: 을사늑약 체결 → 외교권 박탈

1907년: 고종 강제 퇴위, 순종 즉위


개화와 전통, 독립과 외세의 틈바구니에서 조선은 마지막 몸부림을 칩니다.

7. 1910년: 조선의 끝, 경술국치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조약 체결로 조선은 국권을 상실하고 일본의 식민지가 됩니다. 이 사건을 우리는 "경술국치"라 부릅니다.

500년을 이어온 조선 왕조는 이렇게 막을 내리고, 한국은 치욕의 식민지 시대로 접어들게 됩니다.


1910년: 조선의 끝, 경술국치


결론: 조선, 빛과 그림자의 역사


조선은 유교적 가치관을 중심으로 한 문명사회였으며, 한국의 정치·사회·문화·생활에 깊은 뿌리를 내렸습니다.

훈민정음, 실학, 의병 정신, 개혁의 움직임 등은 조선의 긍정적 유산이고,

사화, 붕당, 세도정치, 외세 굴복 등은 뼈아픈 교훈이 되었습니다.


조선의 500년은 한반도의 전통을 지탱한 동시에, 현대 대한민국이 나아갈 방향을 되돌아보게 하는 거울입니다.

다음에는 식민지 시대부터 독립운동까지의 여정을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반응형